contribute의 뜻 – 공적 기금에 돈을 내다

내이버 영어사전에 찾아 보면 contribute는 주로 ‘기부하다’라는 뜻이나 그 비슷한 의미들만 나와 있다. 그러나 이렇게 이해하면 아래의 기사는 해석할 수 없다.

For 2024, the maximum HSA contribution will be $8,300 for a family and $4,150 for an individual.
– the wall street journal 2023. 5. 18.

미국의 국세청인 irsinternal revenue service가 건강 예금인 health savings account에 넣을 수 있는 돈의 한도를 늘린다는 내용의 기사다. 이 예금에는 세금이 매겨지지 않기 때문에 이 예금의 관리에는 국세청이 관여한다. 이 예금은 사람들이 아플 때 의료비 등을 감당할 수 없어 일어나는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 미리 의료비를 준비하게 독려하기 위한 금융 상품이다. 그 이름이 medical 아닌 health이므로 딱히 아프지 않더라도 생리대 같은 걸 사는 데에도 예치금을 쓸 수 있다. 충분히 늙은 뒤에는 돌려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말 그대로 예금이며 보험 상품은 아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경우들이 아닌 때 예외적으로 인출을 할 때에는 20%의 벌금을 부과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예금과는 또 다르며 공공재적 성격이 크다. 그래서 deposit가 아니라 contribute라고 하는 거다. 이 단어는 문맥에 따라 ‘기부하다’, ‘공헌하다’, ‘기여하다’, ‘기고하다’ 등으로 번역할 수 있지만 위 기사에서는 그냥 ‘예치하다’로 옮기는 게 맞다.

(transitive, intransitive) To give something that is or becomes part of a larger whole.
wiktionary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 역시 많은 수가 contribute를 donate와 구별 없이 쓰기도 한다. 그러나 선한 의지가 전제되는 주관적 표현인 donate와 달리 contribute는 보다 기술적technical인 의미의 동사다. 그리고 위 설명에서 보듯이 돌려받을 걸 전제하지 않는 그저 주는 행위다. 따라서 예금 등에는 아무리 그게 공공재적 성격을 갖는다 해도 쓰는 게 맞지 않다. 따지고 보면 은행이 제공하는 일반적인 예금도 각 계좌의 돈을 덩어리로 모아 운용한다는 측면에서 contribute다. 하지만 이건 주는 게 아니라 맡겨 두는 거라 deposit이며 hsa도 deposit라 하는 게 개념적으로는 맞다. 반면에 우리 공동체의 건강의료보험료 같은 경우는 기금으로 내고 끝이므로 contribute를 써야 하는 전형적인 경우다.

역시 공공재인 공적 연금에 돈을 내는 것도 비록 나중에 돌려받는다 해도 contribute라고 한다.

They do not have to contribute anything if you earn these amounts or less.
workplace pensions, gov.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