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공시 api] 주요 계정과목에 매출액 등이 없는 경우 – 표준계정코드를 입력하지 않음

금융감독원은 api를 통해 회사의 주요 계정과목과 모든 계정과목을 나누어 제공한다. 전자의 경우 대이터 양이 작아 100개의 회사들 꺼를 한꺼번에 받을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이거로 해결이 된다.

그런데 주요 계정과목에 매출액처럼 당연히 있어야 할 계정과목이 없는 회사들이 코스피와 코스닥 기준으로 수십 개 된다. 금융회사 등에는 개념적으로 매출액 계정과목이 없지만 문제는 이에 포함되지 않으면서도 주요 계정과목에 있어야 할 것들이 없는 회사들이다.

{
    "rcept_no": "20250514000054",
    "reprt_code": "11013",
    "bsns_year": "2025",
    "corp_code": "00556712",
    "sj_div": "CIS",
    "sj_nm": "포괄손익계산서",
    "account_id": "-표준계정코드 미사용-",
    "account_nm": "매출액",
    "account_detail": "-",
    "thstrm_nm": "제 27 기 1분기",
    "thstrm_amount": "1234425828",
    "thstrm_add_amount": "1234425828",
    "frmtrm_q_nm": "제 26 기 1분기",
    "frmtrm_q_amount": "23535692338",
    "frmtrm_add_amount": "23535692338",
    "ord": "10",
    "currency": "KRW"
},

코스닥에 있는 힘스라는 회사의 모든 계정과목 대이터다. 이 회사의 주요 계정과목에는 매출액이 없다. 하지만 모든 계정과목으로 보면 분명히 위와 같이 공시되어 있다. 그런데 코드를 쓰지 않았다. 표준계정코드를 쓰는 건 공시하는 회사 자유다. 보통은 쓴다. 그래야 이용하는 사람들이 편하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이 주요 계정과목을 처리할 때 이름을 쓰지 않고 코드를 쓰는 모양이다.

모든 계정과목 대이터가 raw 대이터이고 주요 계정과목 대이터는 전자를 가공하여 만든다. 후자를 만들 때 코드를 쓸 게 아니라 이름을 쓰면 위의 문제는 간단하게 해결된다. 그래서 가능하면 이렇게 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한 답변은 아래와 같다.

안녕하세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팀입니다.
XBRL표준 체계상 국문계정명을 표준으로 제공이 불가능합니다.
작성자가 수정이 가능한 부분이기에 개선의 여지가 없습니다.
비표준을 사용하는 법인측에서 표준화를 해야 제공이 가능합니다.

주요 계정과목 대이터를 만드는데 xbrl 체계를 따르며 주요 계정과목이 표준이라는 취지다. 주요 계정과목 대이터는 표준이 아니고 모든 계정과목 대이터가 표준이다. 주요 계정과목 대이터는 xbrl 체계를 따르지 않아도 된다. 정작 전자공시 홈패이지에서 모든 계정과목 대이터를 xbrl 뷰어로 보면 매출액 계정과목이 확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