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치사 + 관계 대명사 what = 나쁜 표현

관계 대명사 앞에 전치사가 오면 이들을 관계 부사 하나로 바꿀 수 있다. 교과 과정에서 다루는 평범한 내용이다.

문장은 전치사로 끝내지 않는다. 전치사는 목적어가 있어야 하는데 전치사로 끝나면 뒤에 무언가 있어야 할 거 같은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this is the house which she lives in.
-> this is the house in which she lives.
-> this is the house where she lives.

전치사 뒤에 목적어가 없다면 이 목적어는 관계 대명사의 선행사로 앞에 있다. 이렇게 뒤에 목적어가 없는 전치사는 앞에 있는 선행사과 관계 대명사 사이로 보내 목적어로 선행사가 아닌 관계 대명사를 취하게 한다.

그런데 이 관계 대명사가 what이라면 그럴 수 없다. 바꿀 관계 부사도 없고 아래와 같은 문제도 있기 때문이다.

children live with love. children learn love. 문장 1
-> children learn what they live with. 문장 2
-> children learn with what they live. 문장 3

문장 3의 경우 with는 live 뒤에서 동사구를 이루던 건데 이게 what 앞으로 가면 learn with라는 동사구로 보일 수 있다. 찬찬히 들여다 보면 그렇지 않다는 걸 알 수 있지만 말로 들으면 learn with까지 들었을 때 ‘무언가로 배운다는 얘기인가 보다’ 하고 준비하게 된다. 따라서 나쁜 문장이다.

위의 문장은 좋게 만들 수가 없다. 새로운 구조로 다시 써야 한다.

children learn what they live는 도로띠 놀티가 쓴 책의 제목이다. with가 빠진 건 제목이라서 허용되는 파격이다. 소제목들을 보면 위의 구조를 버리고 부드럽게 새로 쓴 걸 알 수 있다.

If children live with praise, they learn to appreciate.

위의 논의는 전치사가 관계절에 있을 때의 이야기다. 아래와 같은 경우는 다른 문제다.

i’m interested in what she likes.

위 문장에서 in은 애당초 관계절에 있던 게 아니고 be interested in이라는 동사구의 일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