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증권 api] etk_AdviseRealData 인블록은 공백 문자로 채워야
etk_AdviseRealData는 인블록에 종목 코드를 채워 실행해야 한다. 종목 코드만 입력하면 작동하지 않는다. 남은 공간엔 공백을 넣어야 한다.
etk_AdviseRealData는 인블록에 종목 코드를 채워 실행해야 한다. 종목 코드만 입력하면 작동하지 않는다. 남은 공간엔 공백을 넣어야 한다.
취소할 주식의 수를 0으로 한다.
인 블록 필드에 RecCnt 필드가 있는 트랜잭션을 리퀘스트를 할 때 RecCnt에 1을 입력하지 않으면 09604 입력 데이터 포맷 오류가 일어난다.
취소 주문 CSPAT00800을 이용할 때 주문 번호를 정수형 아닌 문자형으로 보내도 처리가 되고 주문 번호만 맞으면 종목 코드를 틀리게 입력해도 처리된다. 실제 서버에서는 그렇게 하면 작동하지 않는다.
실제 서버가 더 안정적이지만 모의 서버가 더 빠르다. 실제 서버에는 접속자들이 많고 모의 서버에는 적기 때문이다. 모의 서버는 간혹 끊기거나 이상 작동을 하기도 한다. 주문 패킷을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아서 패킷 안의 필드 데이터가 제대로 된 것인지 판단하는 기준이 실제 서버와 모의 서버가 다르다. 일부 필드 데이터에 오류가 있어도 모의 서버는 주문을 처리하기도 한다. 모의 서버에서 정상적으로…
애스키 17부터 20까지는 dc1부터 dc4이다. device control의 약자이다. 예전에 원격 제어 장비 이용에 쓰였던 것들이다. ls증권의 api를 이용하다 보면 이게 나온다. 원래의 용도로 쓰인 건 아니고 인 블록의 애트리뷰트 값에 의미 없는 걸 넣을 때 이게 들어간다. 데브센터에서 트랜잭션을 실행해서 보면 애트리뷰트가 있는 인 블록의 경우 그 값으로 이게 들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스들 사이에서 대이터를 주고 받아야 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이런 경우에 쓸모 있다. ls증권의 api를 이용한 애플리캐이션은 32 비트로만 빌드를 할 수 있다. 32 비트 애플리캐이션은 메모리를 원칙적으로 2gb까지 이용할 수 있으며 변칙적으로 4gb까지도 가능하다. 사실적으로는 3gb 정도까지 쓸 수 있다. 이는 커다란 제약이다. 위의 api로 32 비트 서버 애플리캐이션을 만들고 64 비트 클라이언트…
금융감독원은 여러 회사들의 재무 정보를 api로 제공한다. 그런데 이 api에는 심지어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회사들의 영업 수익 계정도 포함되어 있지 않아 문제다. 보통 회사들의 매출액 계정이 금융 회사에는 없다. 대신 매출액에 해당하는 영업 수익 계정이 있다. 그런데 전자 공시 api로 매출액 계정은 확인할 수 있지만 영업 수익 계정은 할 수 없다.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거래소는 종목 코드로 거래의 대상을 특정하지만 금융감독원은 고유 번호로 공시의 주체를 특정한다. 코스피나 코스닥에 상장되는 회사는 그 전에 이미 공시를 하고 있기 때문에 고유 번호를 가지고 있다. 공시를 하는 회사들의 고유 번호와 종목 코드를 알려면 아래의 엔드포인트를 이용하면 된다. 상장하는 날 위 엔드포인트는 상장하는 종목의 종목 코드를 제공하지 않아 문제된다. 빈 값이 온다. 상장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