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베스트 xingapi로 개장 여부 확인하기

자동으로 작동하는 앱을 만들어 이용할 때에는 애플리케이션이 스스로 장이 열렸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할 때가 있다. 하나의 방법으로는 모든 목적에 맞게 제어할 수 없으므로 아래의 것들을 섞어서 쓴다.

t8411 차트 데이터 트랜잭션을 이용하면 개장 시간과 폐장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수학능력시험일처럼 일시적으로 개장/폐장 시간이 바뀌는 날에 유용하지만 장이 열리지 않는 날에도 열리는 것처럼 시간들을 반환하는 문제가 있다.

여러 종목들의 체결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하여 장이 열렸는지 확인할 수도 있지만 서킷 브레이커가 작동한 때에는 가능하지 않다. 정상 영업일 기준으로 08:30~08:40에도 시간외시장에서 전 영업일의 종가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문제도 있다.

호가 데이터 역시 장이 열리기 전부터 만들어져 수신되기 때문에 이용하기 적당하지 않다.

jif 장 운영 정보 트랜잭션을 이용하면 장이 열리기 1분 전과 개장이 된 때 실시간으로 확인이 된다. 그러나 그 뒤에는 이거로 확인할 수 없다.

ij_ 지수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101 kospi200을 어드바이즈하면 매 초 이벤트가 작동한다. 장중에 장이 열렸는지 확인을 하려면 이게 좋다.

단, 장개시전 종가매매는 8:30~8:40 (10분)
한국거래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