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와 금리의 관계

債券은 정부나 회사가 돈을 빌리며 발행하는 증서다. 민법에 따른 권리인 債權과 혼동하기 쉽다. 중앙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을 국채라 한다.

대부분의 경우 채권에는 갚을 때 이자를 얼마 주겠다고 정해져 있다. 채권을 발행할 때 산 사람은 만기에 이르기 전에라도 다른 사람에게 팔 수 있다. 더러는 산 가격보다 싸게 팔아야 할 때도 있다. 이런 사람들이 많아지면 채권의 가격은 떨어진다. 이 경우 어차피 만기에 받을 이자는 정해져 있으므로 채권의 수익은 커진다. 따라서 채권의 가격이 낮아지면 수익yield은 커진다.

정부는 정기적으로 국채를 발행한다. 보통 사람들은 국채 발행 시장에 참여할 일이 없으므로 잘 모른다. 채권을 파는 사람들이 많아서 채권 가격이 낮아져 수익이 높아지면 새로 발행하는 채권이 예정하는 이자는 더 높아진다. 그러지 않으면 새로 발행하는 채권을 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원금 100원에 이자율 5%의 채권을 발행했는데 이 채권을 많은 사람들이 팔아서 90원으로 떨어졌다면 지금 이걸 그냥 사기만 해도 만기에 15원의 수익을 낼 수 있다. 그런데 같은 조건으로 5원의 수익만 낼 수 있는 채권을 발행한다면 사람들은 시장에서 만기도 더 짧고 10원을 더 벌 수 있는 예전에 발행된 채권을 사지 새로 발행하는 걸 사지는 않을 거다. 새로 발행하는 입장에서는 떨어진 채권 가격을 상쇄하여 같은 원금이라면 최소한 이자율 15%를 주겠다고 해야 한다. 국채의 경우라면 국채 금리가 이렇게 결정되는 거다. 국채 가격이 떨어지면 이는 고스란히 정부가 떠안아야 하는 부담인 셈이다.

흔히 말하는 금리란 중앙 정부가 정하는 기준 금리다. 이건 단기 국채 이자율과 비슷한 수준이다. 따라서 그냥 금리나 이자율이라 하면 사실상 국채 이자율이나 기준 금리를 특별히 구분하지 않고 하는 말이다.

만기가 먼 국채들은 이자율을 결정하는 데에 고려해야 할 요인들이 더 많다. 예를 들면 물가나 정책의 방향 같은 것들이다. 그래서 장기 국채 이자율과 기준 금리는 보통 더 벌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