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구글 블로거, 워드프레스의 애드센스 등록 비교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글에는 애드센스를 넣을 수 없다. 네이버가 자체 광고를 넣을 수 있게 해 주지만 수익은 미미하다. 보이는 것만으로는 수익이 나지 않고 클릭을 해야 수익이 난다. 그러나 광고를 보고 클릭을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러니 블로그 포스팅에 공을 들이는 사람들은 광고 수익 아닌 엉뚱한 짓을 해서 돈을 벌려고 한다. 대신 블로그의 질이나 수준은 크게 따지지 않고 어지간하면 광고를 넣게 해 준다.
전에는 네이버 카페와 블로그가 네이버 검색 결과의 대부분이었는데 요샌 티스토리, 구글 블로거, 기트 페이지 등 검색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네이버 블로그를 이용하는 게 더 잘 검색된다. 검색 유입 비율을 보면 네이버와 다음 비슷하게 1/3 정도이다. 카카오톡 검색도 다음에 포함된다.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네이버가 이들을 포기하기 어렵다.
티스토리
전에는 기존 이용자에게 주어지는 몇 안 되는 초대장을 받아야 가입이 됐는데 지금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편집기의 기능은 네이버의 그것보다 떨어지지만 웹 코드를 수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능력이 되면 네이버 블로그보다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다.
네이버가 자신의 카페와 블로그를 더 잘 검색되게 하는 거처럼 티스토리는 다음과 카카오톡 검색에 유리하다. 전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네이버로 검색을 하고 일부가 구글을 이용하는 거 같았는데 최근에는 다음과 카카오톡 검색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는 거 같다. zum도 바로 수집을 해 가서 검색 결과로 나오지만 줌 이용자들은 적어서 유입에 특별한 도움은 되지 않는다.
티스토리를 이용하면 애드센스에 등록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렇진 않은 거 같다. 티스토리로 애드센스 등록을 신청한 뒤 몇 달에 걸쳐 번번이 퇴짜를 맞은 입장이라 분명하게 말할 수는 없지만 구글이 도메인을 가려서 얻을 이익이 없다. 현재 많은 티스토리 블로그들에서 애드센스가 작동하고 있다. 중요한 건 블로그의 수준이다.
구글 블로거
써 보면 왜 이용하는 사람들이 적은지 바로 알 수 있다. 워드프레스와 기능이 겹치는데 그 수준은 많이 딸린다. 구글이 서비스하는 무료 블로그라는 거 말고는 장점이 없다. 구글 검색에 더 잘 노출되는 것도 아니다. 서치 콘솔에 등록을 해도 수집을 잘 해 가지 않는다.
워드프레스
워드프레스는 위대한 제품이다. 나는 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모두 다룰 줄 알지만 이 블로그를 만들면서 한 줄도 코딩을 하지 않았다. 이걸 직접 만들려면 몇 달은 걸릴 거다. 도메인과 호스팅을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지만 그리 어렵지 않고 1년에 2만 원 정도 들 뿐이다. 나는 카페24를 이용하는데 싸고 편하다. 그러나 인터페이스가 구닥다리고 접속이 되지 않는 장애가 흔하다. 싼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카페24로 호스팅하여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면 카페24가 제공하는 마리아db가 너무 오래된 거라고 경고가 뜬다. 마리아db의 최신 버전은 10.10이고 워드프레스가 요구하는 최저 버전은 10.3인데 카페24가 제공하는 버전은 10.0이다. 카페24에 버전 업 계획이 있는지 물어보니 없다고 한다.
워드프레스로는 대부분의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다. 웹사이트는 크게 페이지와 포스트로 나눌 수 있다. 페이지는 일반적인 홈페이지이고 포스트는 이 홈페이지를 구성하고 있는 포스팅들이다. 워드프레스로는 페이지와 포스트 모두를 만들 수 있다.
워드프레스는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만드는 데에 좋을 뿐이지 이걸 이용한다고 검색이 더 잘 된다거나 애드센스에 더 잘 등록이 되는 건 아니다. 여전히 구글 서치 콘솔은 수집을 더디게 하고 애드센스에 등록이 잘 되고 말고는 무엇으로 만들었냐가 아니라 무엇을 만들었냐에 따라 결정된다. 요스트yoast seo 같은 플러그인을 이용하면 검색 엔진 최적화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을 구현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이러한 도움은 워드프레스를 이용하지 않아도 가능하다. 요스트 seo를 설치하고 포스팅을 작성하면 해당 포스팅이 검색 엔진에 등록되기에 얼마나 알맞게 작성되었는지 바로 평가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뻔한 수준이어서 눈에 거슬리고 귀찮기만 하다. 나는 이 기능을 꺼 놓고 안 쓴다.
검색 엔진 등록
널리 알려져서 사람들이 알아서 찾아오는 홈페이지가 아니라면 애드센스로 돈을 번다는 건 결국 얼마나 검색으로 노출이 되느냐의 문제다. 용케 애드센스 등록이 되었다 해도 웹페이지 방문이 적다면 의미가 없다. 아래의 내용들은 모두 웹페이지의 메타 택 안에 들어가는 것들이다.
description과 og:description
description은 색인을 위해 수집을 하는 검색 엔진 입장에서도 중요하고 검색을 하여 그 결과를 보는 잠재적 방문자의 입장에서도 중요한 내용이다. description에는 그냥 description이 있고 og:description이 있다. 전자는 서치 엔진을 위한 거고 og 즉 오픈 그래프 description은 소셜 미디어를 위한 거다. 구글 검색에만 관심이 있다면 og:description은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데 정작 워드프레스는 기본적으로 og:description만 생성하고 description는 생성하지 않는다. 워드프레스는 검색 엔진 최적화에 오히려 나쁘다. 네이버나 티스토리에 글을 올리면 description들은 두개 모두 자동으로 생성된다.
블로그는 각 포스팅 별로 검색이 되어야 하므로 description들도 각 포스팅마다 있어야 한다. 워드프레스로 포스팅을 만들 때 오른쪽에 보면 excerpt 패널이 있다. ‘발췌’라는 뜻인데 여기에 내용을 입력하면 og:description으로 만들어진다. 문제는 description인데 포스팅을 올릴 때마다 일일이 description 코드를 만들어 넣으려면 번거롭다. 이때 도움이 되는 게 요스트 seo다. 이걸 이용하면 포스팅마다 description을 입력할 수도 있고 자동으로 만들어지게 할 수도 있다. 포스팅마다 직접 작성하려면 오른쪽 요스트 seo 패널의 google preview에 입력하면 된다. 나는 귀찮아서 포스팅의 제목을 description으로 자동 생성되게 했다.
태그라인 변경하기
워드프레스에서 태그라인을 입력하면 이게 타이틀 뒤에 붙어서 뜻하지 않게 긴 타이틀이 된다. 이러면 브라우저 탭에 잘려 나와서 보기에 좋지 않고 검색에도 좋지 않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는 이런 경우 너무 길다고 경고한다. 요스트 seo를 이용하면 이것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사이트맵 등록하기
사이트맵은 검색 엔진에게 웹사이트의 구조를 안내하는 xml 파일이다.* 워드프레스 최근 버전은 사이트맵 xml 파일을 자동으로 만드므로 따로 플러그인을 쓰지 않아도 된다. 파일 이름은 /wp-sitemap.xml이다. 이거는 수시로 바뀌므로 호출이 될 때 동적으로 만들어져 redirect된다. 웹 서버 폴더에는 찾아봐도 없지만 웹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하면 뜬다.
수집 요청
검색 엔진에 웹사이트 수집 요청을 하면 검색 엔진이 알아서 수집을 하고 색인을 만들어서 검색 결과로 반영하는 게 일반적인 절차다. 그러나 티스토리의 경우 한 달 정도를 기다려도 수집하지 않았다. 워드프레스로 만든 뒤에는 포스팅을 할 때마다 구글 서치 콘솔과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해당 포스팅의 주소를 입력하여 개별적인 수집을 요청했다. 이러면 며칠 안에 된다. 다음은 페이지나 포스팅 단위로 수집 요청을 할 수 없게 되어 있지만 구글이나 네이버처럼 오래 뭉개지 않고 바로 크롤crawl하러 온다.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면 really simple ssl이라는 플러그인도 같이 설치되는데 이걸 이용하면 쉽게 https 설정을 할 수 있다. 그런데 다음은 https로 시작하는 주소는 받지 않는다. 다음 서치 엔진에 등록하려면 http로 시작하는 주소도 있어야 한다. really simple ssl 설정 메뉴에서 settings > general > redirect method > 301 php redirect를 고르면 http로 입력한 때 원래의 https 주소로 바뀌어 접속된다. 이렇게 한 뒤 다음 검색 엔진에 등록할 수 있다. really simple ssl의 site health status에는 .htaccess가 더 빠르니까 이걸 쓰라고 나오지만 별 차이 없다.
애드센스 등록
열흘 정도에 걸쳐 스무 개 정도의 포스팅을 작성하고 애드센스 등록을 마쳤다. 신청하고 열흘 쯤 지나 등록 연락이 왔다. 티스토리로 등록을 신청하고 퇴짜를 맞을 땐 더 긴 시간 뒤 연락이 왔다. 심사를 통과한 땐 빨리 연락이 오고 통과하지 못한 땐 늦게 연락이 온다. 통과하지 못한 사람에게 일찍 연락해 줘 봐야 바로 또 등록을 신청할 테고 그러면 구글 쪽에 부하가 커질 거라 그런 거 같다. 애드센스 이용 가능 조건에 대해서는 구글이 구체적인 조건을 분명하게 밝히지 않고 있다. 많은 주장들이 있지만 대부분은 틀리다.
카테고리와 택
카테고리는 분류이고 택은 꼬리표다. 포스팅은 하나의 카테고리에만 속할 수 있지만 여러 개의 택들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포스팅은 여러 주제의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으므로 나는 카테고리 분류를 하지 않고 택만 붙인다. 예를 들어 c#의 멀티뜨레드에 대한 포스팅인 경우 c# 택과 멀티뜨레드 택을 붙여서 c# 택으로 찾아도 나오고 멀티뜨레드 택으로 찾아도 나오게 한다. 카테고리가 없어도 애드센스 등록을 하는데 지장은 없다.
분명한 주제
블로그가 분명한 주제를 다뤄야 애드센스에 잘 등록되는 건 아니다. 이 블로그만 봐도 온갖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포스팅의 길이
애드센스 이용이 허락되는 데에 결정적인 요인이다. 글의 길이에 대해서는 말들이 많지만 단순하게 1,000자를 기준으로 할 게 아니라 그저 적당히 길면 된다. 일반적인 크기의 모니터 기준으로 스크롤 없이 한 페이지 정도면 되는 거 같다. 이 글은 긴 편이다. 몇 줄에 불과한 단편적인 지식의 전달은 허용되지 않는다. 티스토리로 여러 번 실패했을 때 그랬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길게 쓸 수도 없는 노릇이니 가능하면 짧은 글들을 모아서 하나의 포스트로 올리면 좋다.
이미지는 필요 없음
이 블로그에 이미지는 거의 없다. 꼭 필요할 때만 쓴다. 많은 블로그들의 포스팅에 보면 쓸데없는 이미지들이 많다. 보는 사람도 짜증스럽고 의미 없는 자원 낭비다.
소제목
소제목을 붙이는 건 꼭 애드센스에 등록을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도 읽는 사람들을 위한 배려다. 소제목을 붙인다는 거는 하나의 글이 의미 있는 여러 문단으로 잘 구조화되어 있다는 걸 전제로 한다. 이는 블로그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글쓰기의 기본이다. 이 블로그에서는 주로 소제목에 h3 택을 쓴다.
포커스 키프레이즈는 필요 없음
워드프레스로 포스팅을 작성할 때 보면 요스트 seo 패널에 focus keyphrase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왠지 키워드를 입력하면 이들 검색어를 이용한 때 잘 검색이 될 거 같지만 아니다. 이걸 입력해 봐야 이것들은 바디 택 안에 저장된다. 서치 엔진은 이것들에 관심 없다. 이거는 요스트 seo가 이걸 바탕으로 글이 얼마나 주제어들을 잘 반영하고 있나 자체적으로 평가하는 데에 이용될 뿐이다.
승인 뒤 코드 삽입
승인이 되면 이메일이 온다. 조바심 내며 애드센스 관리 페이지에 접속하여 확인할 필요 없다. 승인이 되면 블로그 각 페이지와 포스팅의 메타 택에 구글이 넣으라고 하는 코드 한 줄만 넣으면 된다. 구글은 자기네 플러그인을 설치하라고 권하지만 필요 없다. 코드를 넣을 때에는 Header and Footer라는 플러그인을 쓰면 편하다. 이걸 이용하면 모든 페이지에 자동으로 코드를 삽입할 수 있다.
코드는 미리 넣어 놔도 상관 없지만 승인이 되지 않으면 어차피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다. 티스토리의 구글 애드센스 플러그인을 쓰면 빈 광고라도 뜨지만 워드프레스로 만든 페이지나 포스트에는 뜨지 않는다. 승인이 됐다는 연락을 받아도 바로 반영되지는 않는다. 한 시간 정도 시간이 걸리니 코드를 넣고 좀 지난 뒤 보면 광고가 나올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