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rwegian wood는 노르웨이산 나무 내장재라는 뜻

더 비틀즈가 부른 norwegian wood라는 노래가 있다. 어떤 남자가 여자 친구 집에 놀러 갔는데 친구가 방을 구경시켜 주며 norwegian wood인데 좋지 않냐고 묻는 가사가 나온다. 근데 뭐가 잘 안 됐는지 남자는 norwegian wood에다 불을 지른다는 내용이다. 참고로 한때 금지곡이었다.

​무라카미하루키는 노르웨이의 숲ノルウェイの森이라는 유명한 소설을 썼다. 문제는 이 소설의 도입부에 바로 더 비틀즈의 그 노래가 나온다는 거다. 화자는 노래를 들으며 노르웨의 숲이라고 한다.

(countable, often as plurale tantum) A forested or wooded area.
wiktionary

​wood에는 분명히 숲이라는 뜻이 있다. 단수로 쓰일 때에는 특정한 숲을 가리키고 복수로 쓰일 때에는 일반적인 숲을 뜻한다. 무라카미의 번역은 틀린 게 아니다. 그러나 그게 더 비틀즈의 그 노래를 지칭한 거기 때문에 완전한 오역이다. 노래는 숲이랑 아무 상관도 없는 내용이다.

​더 비틀즈의 저 노래 제목은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노르웨이산 가구라고 알려져 있지만 아니다. 노래 가사를 보면 그녀의 방에는 앉을 의자도 없어서 그냥 러그 위에 앉았다고 나온다. 앤드루 그랜트 잭슨이라는 사람이 쓴 1965: the most revolutionary year in music라는 책에 보면 폴 매카트니가 피터 애셔라는 지인의 집을 예로 들며 설명한 뜻이 나오는데 당시에는 실내를 나무로 마감하는 게 유행이었다며 그렇다고 노래 제목을 싸구려 송판cheap pine이라고 하는 건 좀 아니지 않냐고 한다. [p. 257] 근데 이 책은 무라카미의 책이 나온 한참 뒤인 2015년에 나온 거라 이런 사정을 무라카미는 알 턱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