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 대명사 앞에 카머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구별 – 제한절

우리 교과 과정은 관계 대명사 앞에 카머가 있으면 계속적 용법이라 하고 없으면 제한적 용법이라 한다.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은 이들을 각각 non-restrictive clause와 restrictive clause라 한다. 비제한절과 제한절이라는 뜻으로 우리가 쓰는 명칭보다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쉽다.

관계 대명사절이 있어서 의미가 달라지면 이 절은 선행사를 구체화하여 그 범위를 제한하므로 제한절이고 의미가 달라지지 않으면 제한하질 않으니까 비제한절이다.

That decision overturned the constitutional right to abortion which isn’t mentioned in the Constitution.
그 판결은 헌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낙태가 헌법적 권리라는 해석을 뒤집었다.

That decision overturned the constitutional right to abortion, which isn’t mentioned in the Constitution.
그 판결은 낙태가 헌법적 권리라는 해석을 뒤집었는데 낙태가 헌법적 권리라는 것은 헌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
the wall street journal 2022-7-27

위의 차이는 말로 할 땐 제대로 구별하기 어렵다. 말하는 사람이 카머가 있을 자리에서 뜸을 들이거나 억양을 다르게 하거나 문맥으로 차이를 이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