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교리에 반하는 사찰 문화재 관람료 징수

“왜 절에 가지도 않는데 돈(문화재 관람료)을 내야 하나”라는 불만이 사라지지 않는다.
매일경제 2022-1-24

박정희 정부는 국립 공원을 지정하면서 기존 사유지 소유자들에게 보상을 하지 않았다. 이들 소유자에 여러 절들도 있었다. 절들도 땅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졸지에 국립 공원이 되어 여러 사람들이 멋대로 절 땅을 돌아다니게 됐다. 이에 대한 보상으로 박정희 정부는 국립 공원에 오는 사람들한테서 돈을 받아다 절에 줬다. 그런데 노무현이 대통령이 된 뒤 돈을 받지 못하게 했다. 어쩔 수 없이 절들은 문화재 관람료라는 명목으로 직접 돈을 받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반발했다.

이런 사정을 헤아리면 절들의 입장도 이해가 간다. 하지만 불교 교리에 따르면 옳지 않은 일이다.

부처는 내일 먹을 소금조차 오늘 미리 챙기지 못하게 할 정도로 수행자들의 소유를 엄격하게 금했다. 당시 유명세를 얻은 부처는 많은 제자들을 거느렸는데 이들이 같이 생활하는 모습을 생각해 보면 보통일이 아니었을 거 같다. 부처가 죽었을 때 장례를 한 제자들이 500명 정도였다고 하니. [디가 니까야, 마하빠리닙바나 6.22.]​

다행히 인도는 대체로 따뜻해서 먹거리는 풍부했고 인근의 부자들이 기부도 많이 했다. 지금의 기부라 하면 소유권을 이전하는 거겠지만 부처의 시대에는 위와 같은 이유로 그러지 않았고 재력가가 커다란 사원을 손수 지어 무리들이 지내게 했다. 이렇게 형성된 집단을 빠알리와 산스끄리뜨 공히 상가sangha라 하며 중국 사람들은 이 말을 僧伽승가라 번역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기부자가 변심을 하거나 죽으면 상가의 운명은 애매해진다. 하지만 그것이 수행자들의 운명인 것을 어쩌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