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의 보도 문제 1
고위 공직자 아들 군 배치에 대한 편향적 주관
경향신문은 2022년 11월 17일 높은 공직에 있는 사람들의 아들들이 더 편하게 군 생활을 한다며 공정하지 않은 배치를 막기 위한 법 정비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기사를 냈다. 높은 공직에 있는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자식들 교육에 더 공을 들일 형편이 된다. 군대에도 나가서 싸우는 보직이 있는가 하면 머리를 써야 하는 일 역시 많다. 이런 일은 학력이 낮은 사람은 시키기가 어렵다. 기자가 지적하는 취지는 이해할 수 있지만 저런 현상은 구체적으로 부당한 절차에서 비롯된 게 아닌 추상적 결과일 뿐이다. 군대에 가 보면 멀쩡한 4년제 대학교에 다니다 온 사람들이 무척 적다는 데에 놀라게 된다. 설령 저런 현상이 고쳐져야 할 문제라 할지라도 그건 기사를 읽는 사람이 할 판단이지 기자가 할 것은 아니다. 정 그렇게 생각한다면 사설을 통해 주장하면 된다. 그런 거 하라고 사설이 있는 거니까.
문제 언론사 보호
2022년 8월 대통령이 출근하며 기자들과 이야기를 나누던 중 어느 기자가 “대통령님 파이팅”을 외쳤다. 경향신문은 이 기자가 소속된 언론사를 밝히지 않았다. 2022년 11월 대통령은 전용기를 타고 인도네시아로 가면서 따로 두 명의 기자들만 불러다 한 시간 정도 대화를 했다. 그러면서 취재에 응한 건 아니라고 했다. 이건 대통령도 문제지만 기자들도 정신을 제대로 차리지 않은 거다. 따라서 대통령을 비난함과 동시에 기자들이 속한 언론사들도 밝혀야 했다. 경향신문은 이러한 문제 기자들이 속한 언론사도 밝히지 않았다.
사법 절차에 대한 편향적 이해
– 문재인 정부 울산광역시장 선거 개입 사건
문재인 정부 때 청와대 비서들이 울산광역시장 선거에 개입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었다. 경향신문은 2020년 2월 12일 이 사건에 대한 공소장이 재판 전에 공개되었다며 비난했다. 사설 아닌 지면을 통해 이 신문의 논설위원은 재판 전에 공소장이 공개되면 판사가 특정 세력에 휘둘리게 될 거라고 했다. 신문이 사설을 벗어나 주관을 전달하는 것도 문제지만 그나마도 틀린 주장이다. 판사가 사건 사실 아닌 문제에 영향을 받아 판결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이는 판사의 자질 문제지 대중에 공개된 공소장의 문제가 아니다. 공소가 제기되면 보통 한 달 정도 지나 재판이 열린다. 심리가 시작되면 공소장의 내용은 대부분 드러난다. 재판은 수 년이 걸리기도 한다. 재판 시작 전 한 달의 시간이 긴 전체 과정에 줄 영향은 크지 않다. 굳이 따지자면 판사가 압박을 받는 건 재판 전이 아니라 판결 전이다.
검찰이 기소를 하면 그 결과 1심에서 무죄인 경우는 1%가 안 된다. 검찰이 기소를 했는데 무죄로 판결되면 검찰의 입장에서나 담당 검사의 처지로 보나 큰 문제다. 특히 저런 사건에는 더 신중하게 접근한다.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죽는 사람이 2~3%만 되어도 전 세계가 난리다. 99%의 결과가 예측되는 문제의 실체가 형성되었는데 왜 이걸 가지고 한 달여를 뭉개야 하나? 납세자의 알 권리는 대한민국헌법 제21조 언론/출판의 자유에서 파생되는 헌법적 기본권이다.
– 애플의 아이폰 고의 성능 저하 사건
2017년 애플은 새로 제품을 내놓으며 os 업데이트를 통해 예전 제품의 성능을 고의로 떨어트렸다. 이에 대해 손해의 배상을 청구하는 소가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들에서 제기되었고 승소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졌다. 이 판결을 두고 경향신문은 2023년 2월 2일 재판부가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며 구체적인 판결 이유를 밝히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한겨레의 보도에 따르면 경향신문의 보도는 거짓이다. 재판부는 원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청구를 기각했다. 청구인이 증거를 제출하지 않아서 기각을 하는 데에 있어 더 자세한 이유는 있을 수 없다.
세상을 보는 어두운 눈
노무현 정부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기 위해 노력하던 때 이해영 교수는 이 협정을 많이 비판했다. 경향신문은 2006년 7월 2일 역시 사설의 테두리를 벗어나 정치부장의 입을 통해 이해영 교수의 입장을 두둔했다. 미국을 상대로 한 무역 흑자는 2011년 116억 달러에서 2021년 227억 달러로 약 96% 늘었다. 미국은 이 협정이 자신들에게 불리하게 체결되었며 내용을 바꾸어 다시 체결하자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