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하기 어려운 귀리
탄수화물은 쉽게 섭취할 수 있지만 단백질은 그렇지 않다. 밥을 할 때 쌀에 이것저것 더하여 단백질을 섭취하려는 생각은 별로다. 귀리의 단백질 함량은 콩의 그것보다 높다. 100g에서 약 16.9g이 단백질이다. 하지만 먹는 거와 소화하여 흡수하는 건 다른 문제다. 귀리는 잘 소화되지 않는다. 하룻밤을 물에 불리고 밥을 한 뒤 먹어도 배탈이 자주 나고 설사를 흔히 하며 응가에 조각이…
탄수화물은 쉽게 섭취할 수 있지만 단백질은 그렇지 않다. 밥을 할 때 쌀에 이것저것 더하여 단백질을 섭취하려는 생각은 별로다. 귀리의 단백질 함량은 콩의 그것보다 높다. 100g에서 약 16.9g이 단백질이다. 하지만 먹는 거와 소화하여 흡수하는 건 다른 문제다. 귀리는 잘 소화되지 않는다. 하룻밤을 물에 불리고 밥을 한 뒤 먹어도 배탈이 자주 나고 설사를 흔히 하며 응가에 조각이…
와사비는 Eutrema japonicum의 속칭이다. 와사비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와 있으며 고추냉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틀린 설명이다. 와사비는 고추냉이가 아니다. 우리가 고추냉이라고 하는 건 학계에서 널리 인정되는 이름이 없는 다른 식물이다. 검색을 해 보면 이런 저런 그럴싸한 학명들이 나오지만 이들 가운데 어느것도 세계적인 식물 데이터베이스에는 올라와 있지 않다. 문제는 와사비라는 이름으로 팔리고 있는 가공 식품들 가운데 와사비로 만든 게…
우리가 흔히 hot dog라고 하는 건 corn dog를 틀리게 표현한 거다. 나무 꼬치에 꿰어 먹는 건 콘 도그이고 핫 도그는 긴 빵을 갈라 그 안에 쏘시지를 넣어 먹는 음식이다. 유명한 스테프 핫 도그의 제품들을 보면 된다. 여기에서 dog란 물론 댕댕이를 뜻하는 게 아니라 쏘시지를 의미한다. A hot dog: a frankfurter, wiener, or similar sausage; or…
Yet a 2001 FDA study noted on page 38 that “Traditional butter and margarine have had a long history of safety without time/temperature control.”– the wall street journal 2023. 4. 28. 일반적으로 버터와 마저린은 냉장 보관한다. 그러나 이들은 주로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분을 적게 갖고 있어서 상온에서도 쉽게 상하지 않는다. 특히 상온에 두었을 때 먹기에도…
여기에서 말하는 빵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온 우리가 흔히 말하는 빵이 아니라 바게뜨baguette나 깡빠뉴campagne와 비슷한 식사용 담백한 빵이다. 밀가루를 주원료로 하여 소금, 설탕, 버터, 효모 따위를 섞어 반죽하여 발효한 뒤에 불에 굽거나 찐 음식. 서양 사람들의 주 음식이다.– 표준국어대사전 동네 빵가게들을 보면 하루 지난 바게뜨나 깡빠뉴를 4천 원 정도 받고 파는 곳들이 허다하다. 그나마 크지도 않아서 바게뜨의 경우 프랑스 규격에 미치지 못한다. 아래의 방법으로 만들면 이런 것들보다 훨씬 맛있고 돈도 적게 든다. 밀가루 150g을 기준으로 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