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마우스 동작에 따라 링크마다 다른 스타일을 적용하는 방법

아래 코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현재 열려 있는 페이지의 링크 아래에 작대기가 출력된다.– 다른 페이지의 링크로 마우스 포인터를 옮기면 그 링크 아래에 작대기가 출력된다.– 위의 상태에서는 현재 페이지의 링크 아래에 출력된 작대기가 사라진다.– 포인터가 링크에서 벗어나면 다시 현재 페이지의 링크 아래에 작대기가 출력된다. 현재 열려 있는 페이지가 아닌 링크로 포인터를 옮긴 때 현재 페이지를…

[css] float를 적용하면 위 여백이 늘어나는 이유 – 마진 컬랩스

css 프라퍼티인 float는 그 피상적인 내용은 간단하지만 막상 다루기에는 까다롭다. 그 주된 기능은 가로로 한 줄을 다 차지하여 위아래로만 쌓듯 배열을 할 수 있는 블록-레벨 콘텐트를 옆으로 나란히 두게 하는 거다. 하지만 작동하는 원리가 복잡하여 그냥 대충 이용하다간 레이아웃이 금새 엉망진창이 된다. 아래 두 코드의 실행 결과는 다르다. 어차피 패러그래프 하나만 있으니 플로우트 처리를 하든…

웹브라우저의 쿽스 모드와 <!DOCTYPE html> 문서 타입 설정

현재 표준 html 문서를 만들려면 첫 줄에 <!DOCTYPE html>를 입력해야 한다. 이러지 않으면 아래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html 문서에 아래 한 줄만 입력해 본다. 그러고 웹페이지를 열어 보면 위 문구의 위와 왼쪽 여백이 8px로 확인될 거다. 이 여백은 <body>의 기본 여백이다. <p>의 그것은 1em 즉 16px이다. 현재 표준인 html 5에 따르면 이 경우 겹친 여백이…

[html] table의 column width가 자동으로 결정되는 규칙

html로 table을 만들고 column의 width를 특정하지 않으면 아래의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된다. Column widths are determined as follows:1. Calculate the minimum content width (MCW) of each cell: the formatted content may span any number of lines but may not overflow the cell box. If the specified ‘width’ (W) of the cell is greater than MCW,…

[워드프레스] 사이트 언어와 인터페이스 언어 다르게 설정하기

워드프레스의 사이트 언어를 설정하면 사이트의 html 태그에 lang 애트리뷰트가 설정된다. 웹사이트가 잘 검색되게 하려면 이 설정을 제대로 하는 게 좋다. 그런데 이 설정을 하면 워드프레스 인터페이스 언어까지 설정된 그것으로 바뀌어 버린다. 예를 들어 나처럼 우리말로 된 홈페이지는 만들지만 워드프레스는 영어로 이용하는 게 더 편할 수도 있다. 이럴 땐 사용자 설정을 바꾸면 된다. 인터페이스 언어는 사용자별로…

구글 검색 결과 사이트 이름이 나오지 않는 버그

구글로 검색을 한 결과는 홈 페이지의 사이트 이름을 내보여야 하지만 대신 도메인 이름이 나오는 경우가 있다. 설정들을 제대로 하여 yoast 검색 결과 미리 보기에도 사이트 이름이 잘 나오지만 구글은 현재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 버그다. Known issue: site name isn’t appearing for internal pages– google search central

[워드프레스] ‐‐ 더블 하이픈 입력하기

워드프레스의 편집기에 ‘‐‐’만 입력하면 제대로 나온다. 그러나 ‘‐‐a’라고 입력하면 ‘–a’로 바뀌어 출력된다. 이렇게 그냥 마이너스인 ‘-‘에 비해 긴 ‘–‘를 dash라고 한다. 그런데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word’의 형태로 써야 할 때가 많다. 이럴 땐 편집기를 edit as html로 바꾸고 ‘-‘ 하나 대신 ‘&#8208;’이라고 입력하면 된다. 즉 ‘&#8208;&#8208;’이라고 입력한다. 제목에 더블 하이픈을 넣을 때에는 html 모드로 바꿀…

티스토리, 구글 블로거, 워드프레스의 애드센스 등록 비교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글에는 애드센스를 넣을 수 없다. 네이버가 자체 광고를 넣을 수 있게 해 주지만 수익은 미미하다. 보이는 것만으로는 수익이 나지 않고 클릭을 해야 수익이 난다. 그러나 광고를 보고 클릭을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러니 블로그 포스팅에 공을 들이는 사람들은 광고 수익 아닌 엉뚱한 짓을 해서 돈을 벌려고 한다. 대신 블로그의 질이나 수준은 크게…

카페24 구입 도메인을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하는 방법

도메인을 사서 웹사이트를 만들었다면 구글 같은 서비스의 서치 엔진에 등록하는 게 좋다. 그러면 서치 엔진을 통한 검색으로 웹사이트에 유입이 될 수 있다. 검색 서비스 업체들은 이러한 절차를 쉽게 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구글의 경우 서치 콘솔이라고 한다. 아래는 카페24를 통해 산 도메인에 만든 웹사이트를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메인 속성 추가’를 선택하면 ‘도메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