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인권조례를 없애자는 주장 – 시간이 필요하다

우리 공동체의 공교육 시스템이 시험에 들었다. 나쁜 학부모들 때문에 초등학교 교사가 교실에서 자살을 했다고 한다. 수준 낮은 학생들 때문에 선생 노릇을 하기가 힘들어졌다고 한다. 다른 시각에서는 제도적으로 학생들이 교사들에게 싸가지 없게 행동하도록 부추기고 있다고 한다. 모두 맞는 말들이다. 세상 일은 이렇게 여러 문제들이 공존하며 리듬에 따라 이 문제가 터졌다가 저 문제가 불거졌다가 하게 마련이다. 문제를…

공포 영화를 보면 처진 기분이 개운해진다

두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면 우리 몸은 아드레날린,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같은 물질들을 만들어 낸다. 이런 것들에는 각성 효과가 있다. When we’re scared, our sympathetic nervous system, which is in charge of our fight or flight response, floods our body with adrenaline and our brain with neurotransmitters such as dopamine and norepinephrine, which can lift our spirits…

영국 교사들의 높은 자살률과 이들의 파업을 지지하는 학부모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영국의 유치원 교사들과 초등학교 교사들의 자살한 수를 조사해 보니 그 비율이 전체 국민의 자살률보다 42% 높았다. 이러니 선생을 하려는 사람들은 줄고 하고 있는 사람들이 부담해야 하는 일은 더 많아진다. 그래서 교사들을 더 뽑고 임금을 올려 달라며 선생들은 파업을 한다. 학부모들의 73%는 이들의 파업으로 인해 힘들다고 하면서도 63%는 이들의 파업을 지지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교사들이 파업을…

러시아의 국외 자산 압류에 반대하는 독일과 일본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억누르기 위해 러시아 바깥에 있는 러시아의 재산을 압류하자며 미국이 여러 나라들을 설득하고 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의 전범국들인 독일과 일본이 반대하고 있다. 이들 나라는 아직도 주변의 나라들로부터 대전에 대한 책임을 추궁당하고 있다. 이런 마당에 특정 국가의 해외 자산을 압류하는 선례를 만들면 논리적으로 자신들을 방어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관계 대명사처럼 보이지만 한정사로 쓰이는 what

IT is OUR intention to preserve in these pages what scant biographical material we have been able to collect concerning Joseph Knecht, …– magister ludi what이 문장 안에서 나오면 관계 대명사로 알기 쉽지만 위 문장에서 what는 한정사다. what ~는 절이 아니라 material까지가 preserve의 목적어인 명사구다. 한정사로 쓰이는 what는 이해하기 까다롭다. 옥스퍼드 영한사전에는 나와 있지 않고…

무라카미하루키, 이문열, 고은은 과대평가된 작가들

하도 유명하여 무라카미하루키의 작품들을 여럿 읽어 봤지만 끝까지 읽은 건 없다. 왜 이딴 것들을 읽는지 이해하기가 힘들다. 2006년 교수신문은 30대 나이의 시인 35명, 소설가 30명, 평론가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했다. 그 내용은 자신이 영향을 많이 받은 작가와 과대 평가된 작가 등이었다. 그 결과 무라카미하루키, 이문열, 고은이 과대 평가된 작가들로 제일 많은 표를 받았다.